주요정보
섹터커플링을 위한 무탄소에너지 캐리어 기술 개발 (1/1) = Development of the core equipment for liquid hydrogen supply systems (1/1)
보고서번호 UCK016-7224.M
원문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.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.

초록

ㅇ 2050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과 재생전력을 다양한 에너지 섹터에 활용하기 위한 sector coupling 기술 및 재생에너지의 대용량 저장/운송/활용을 위한 무탄소 캐리어(수소, 암모니아, 열) 관련 기술 확보 필요
- 재생 에너지 활용도 제고를 위해서는 재생 에너지의 간헐성 극복을 위한 에너지 저장 기술이 확보되어야 함
- 잉여 재생에너지 전력을 이용하여 물질 생성을 통해 전력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전력 저장 기술이 제안되고 있음.
- 생성 물질에 따라 Gas 혹은 liquid(연료 혹은 energy carrier) 로 변환하거나 수소/암모니아의 형태로 변환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개념의 구성이 가능하여 이를 통틀어 P2X 형태로 부르기도 함

ㅇ 탄소중립사회의 sector coupling 기술 및 무탄소 캐리어(수소, 암모니아, 열) 기술 중 기계연구원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할 다음의 기술에 대한 기본 연구와 시설 및 기반 구축을 수행함

- P2X 개념 구현을 위한 R&D 기반 구축 및 기초 공정 개발
· 잉여전력을 활용 액상/고상의 폐유기물을 재활용, 기초원료화 하는 전환 공정기반 구축 (Power to Plastic monomer)
· 잉여전력을 활용 그린암모니아 생산 기반 (Power to Ammonia) 공정 개발 및 기반 구축
· 고출력 암모니아 혼소 엔진 연소 및 배기 성능 개발

- 고효율 차세대 P2eM 동력 공정 시스템 설계기술 개발 및 평가 기반 구축
· 액화수소 연료공급 시스템을 활용한 연료전지/배터리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설계기술 개발
· 액화수소 연료 공급 시스템 활용 초전도 모터 동력 시스템 설계 기술 개발

- Net zero 건물의 공기질 제어 기술 개발 및 기반 구축
· 건물 공기질 및 에너지 소비 제어 기술 개발
· 건물 미세먼지 저감 평가 시스템 구축 및 실증

연구과제정보

연구과제정보
과제명 섹터커플링을 위한 무탄소에너지 캐리어 기술 개발 (1/1)
계정번호 KN016A
연구기간(완료연도) 20220401-20221231 ; 총연구기간 20220401-20221231 (2022)
언어 KOR
연구분야 에너지
연구책임자 최병일;
총연구비 \2,400,000,000
참여연구원 강홍재; 김동민; 최정안; 류진우; 배용균; 우상희; 이건희; 김유나; 정융; 정연우; 홍기정; 유화롱; 김주원; 송호현; 이동근; 이희수; 김모세; 장형준; 김영상; 윤석호; 김명배; 김관태; 고득용; 김기덕; 김동호; 김용래; 김진섭; 김태훈; 도규형; 박철웅; 송찬호; 염한길; 이근태; 이대훈; 이상윤; 이석환; 임형수; 최상규; 최영; 한방우; 한소영; 한용식;
주관연구기관 한국기계연구원 대전
수탁처 한국기계연구원
사업구분 기본/자체연구사업(II)
소장정보 소장
자료형태 파일
청구기호 KIMM KN016A 2022
관리번호 TR2022-153